라즈베리파이와 우분투 마테(mate) 단 1도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우분투를 써야할 때에는?
일단 해보면 된다!
일단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마테를 다운을 받아야 했다. 아래의 순서 그대로 하면 된다. 일단 mate를 왜 마테라고 읽는 지부터가 궁금하긴 하지만,
1. 라즈베리파이에 있는 마이크로 SD카드를 포맷을 하고(SDFormatter 추천)
2.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마테를 다운을 받고,
(https://ubuntu-mate.org/download/로 들어가서)
3. 라즈베리파이를 실행을 시킨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라즈베리파이의 버전이 3 b까지만 지원이 되는 것 같다!!!
5 ~6시간동안 라베파3b+로 삽질하다가 설마설마하면서 했는데 바로 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라즈베리파이 3b로 하는 중이다. 3b+가 아예 안되는 것은 아닌듯한데 추가로 설정을 해주어야 되는 것 같다.
위의 설명을 자세히 풀어보면, 일단 SDFormatter를 다운받고 실행을 시키면
SDFormatter
이러한 창이 뜬다. 여기서 SD카드를 컴퓨터에 연결시키면 Drive의 목록에 뜬다. 그러면 Option에서
FORMAT SIZE ADJUSTMENT를 ON을 시키고 FORMAT을 누른다.
그런 후에 SD카드에 우분투를 설치를 해야하는데, https://ubuntu-mate.org/download/로 들어가서 라즈베리파이를 누르면,
이러한 그림을 누르면
이것을 누르면 다운이 된다.^^
.xz파일이라 반디집에서만 풀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알집에서도 되는 것 같기도 하다. 나는 반디집을 이용해 압축풀기를 했다.
이러한 파일이 나오고, 이 파일을 윈도우 디스크 이미져로 실행을 시켜주어야 한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files/Archive/에 들어가서
을 눌러 다운을 받는다. 실행을 시키면
이렇게 뜨는데, Image File에 압축해제한 이미지파일을 넣고 Device에 SD카드 위치를 넣은다음 Write를 해주면 된다.
SD카드에 다운이 다 되면, 그대로 라즈베리에 꼽고 전원을 넣어주면 된다!
그 후에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고 한글이 써지도록 하면 되는데,
일단 터미널은 우클릭으로 열 수 있다.
일단 왼쪽 상단부에 제어 센터에서 software updater를 누르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목록을 확인해준다. 하지만 install을 누르면 디스크의 용량이 없다는 표시가 뜰 것이다.
바탕화면에 우클릭을 해서 터미널 열기를 누르면 터미널 창이 뜨는데, 여기에
sudo apt-get upgrade
이렇게 써넣어 주면 된다. 설치하겠냐고 하는건 다 yes를 했다. 그러면 소프트웨어 설치는 완료가 된다.
한글 입력은, 왼쪽 상단부에 시스템을 누르면, 제어 센터가 있는데 거기에 Language Support를 누르면 언어지원패키지를 완벽하게 설치하지 않았다고 뜬다.(아마 처음 우분투 설치하면서 설정하는 곳에서 한국어를 눌렀을
경우인 듯 하다.) 그러면 설치를 누르고 설치가 다 되면 키보드 입력기에 fcitx가 뜰 것이다.(안 뜬다면 껏다 켜보면 되는 것 같다.) fcitx를 선택을 한다.
그리고, 바탕화면 위에 시스템-기본설정-기타-Fcitx설정에 들어가서
키보드-영어(미국)하고 Hangul을 설정해주면 된다.
위의 화면처럼 설정이 안되어 있다면 하단에 +를 눌러 추가를 하면 된다. 그리고,
전역설정에서 입력기 전환을 눌러 원하는 설정되로 하면 나중에 한글을
쓸 때, 저 버튼을 눌러 전환을 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나는 입력기
전환에 한글버튼을 눌렀는데 한글로는 전환이 안되고
윈도우+스페이스바 키만 된다 ...?
어쨌든 이렇게 기본적인 세팅을 끝냈다. 사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터미널 여는 것만 2시간 걸린 듯 하다. 다른 블로그들을 찾아 보아도 터미널에 뭘 적는지만 써있고 터미널이 뭔지도 안 알려줘서...ㅠㅠ
혹시 처음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사이트가 있다면 공유해주었으면 좋겠다. 앞으로도 화이팅!
'로봇 작품 > SLAM, ROS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ROS 용어정리 (0) | 2020.07.29 |
---|---|
라즈베리파이 gmapping navigation 진행상황 (0) | 2020.07.29 |
Raspberry pi ubuntu hector slam setup (0) | 2020.07.29 |
3. VNC viewer 설정. 라즈베리파이 화면 (0) | 2020.07.29 |
2. ROS 설치 및 설정 (우분투 마테/MATE)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