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찬히 로봇 메이커 :: 찬찬히 로봇 메이커
반응형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이해



1장 자율 주행 기술의 5단계 개요


0단계
운전자 보조


1단계
가감속을 통한 보조


2단계
특정 조건에서 시스템이 보조


3단계
자율주행, 운전권 이양 준비


4단계
원하는 영역내에서 자율주행, 모니터링 필요 x


5단계
궁극의 자율주행. 운전자 불필요

2장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현황


1. DARPA GRAND CHALLENGE(2004)-사막코스, 첫 대회에 완주팀X, 두번째 대회에 스탠포드 대학 우승
2. DARPA URBAN CHALLENGE-도심코스
3. 구글에서 자율주행차 연구 시작
현 단계는 반자율주행 기술 탑재(크루즈, 차로 유지)
딥러닝 인공지능과 차량용 반도체,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율주행이 개발되고 있다. 

3장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 발전방향


FALL BACK - 차가 고장났을 경우 피드백을 통해 안정성을 높인다.
교통 흐름 파악 - 네트워크 이용
데이터 확장 및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로 자율주행 진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뢰성 있는 테스트와 검증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반도체 기술이 발전하며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4장 자율주행 기술 구성


인지 - 센서 = 사람의 감각기관/측위 - 지도와 비교
판단 - 경로계획
제어 - 판단의 결과
자율주행플랫폼 - 센서/차량네트워크/클라우드/통신

5장 자율주행 기술의 요소 : 센서, 인지, 측위


센서 - 외부 정보를 받아들임.
인지 -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알아냄.
측위 - odometry(주행기록계)를 활용하여 gps가 없는 공간에서도 측위를 알 수 있다. + map matching을 활용한다.

6장 자율주행 기술의 요소 : 판단, 제어


판단기술 - 충돌 여부 판단, 경로 계획, 위험 회피
제어 - 차량을 올바르게 제어

7장 자율주행 기술 인프라 : 통신, 고정밀지도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 자율주행 실현을 위해 차와 인프라 기술간의 협력 필요
 v2x,v2v,v2i,모바일 엣지 컴퓨팅 등 여러 통신을 사용
클라우드를 통해 정밀지도 사용

8장 자율주행 기술 인프라 : 데이터, 하드웨어


라벨링 - 딥러닝용 데이터/클라우드 서버에서 과정 수행
딥러닝 - 차량 주행 시 취득한 데이터 이용, 시뮬을 통해 얻은 데이터 활용
NPU - 임베디드 하드웨어. 딥러닝 계산에 특화된 반도체/ 저전력, 실시간성 중요.


반응형

'공부 > NGV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V캠퍼스 직무능력 인증서  (0) 2021.11.18
NGV 캠퍼스 자율주행 판단 정리  (0) 2021.11.01
NGV 캠퍼스 자율주행 인지 정리  (0) 2021.10.25
반응형

1. 길이 180mm를 정확히 움직이게 한다.

2. 90도 각도를 정확히 돌게 한다.

3. 직진 후 진입을 맞추어 정 가운데 오게 한다.

4. 90도 회전 후 탈출을 정확히 폴대 사이에 오도록 탈출 값을 맞춘다.

5. 왼쪽 턴 후 왼쪽/오른쪽 턴을 맞추어 turn-to-turn 진입 값을 맞춘다.

6. 연속 턴들을 테스트한다.

7. 나머지 대각도 맞춘다.

 

90도 -> 직진 진입 -> 탈출 -> 턴투턴 진입

 

주의!

1. 센서 값을 중간에 바꾸지 않는다.

2. 턴마다 각이 틀어지면 바퀴를 닦고 배터리를 충전하고 실행한다. 이래도 안되면 속도를 낮춘다.

3. 옆에 벽일때와 폴대일 때를 테스트해서 일정하게 맞춘다.

 

반응형
반응형

마지막날 날씨는 맑다.
아침으로 복어 요리 전문점에 와서 복어국인 복국과 복어 무침을 먹었다. '금수복국'이라고 체인점인 듯 했다.
아침 먹은 후에는 송도해상케이블카를 타러 갔다.
전망이 매우 좋다.
스카이워크가 있는데 고소공포증이 있는 나로서는 꽤나 무섭다.
경치는 참 좋다.
마지막은 부산 해수욕장 한 번 밟으면서 끝이 났다.

3박 4일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부산여행은 올 때마다 즐겁고 볼거리, 먹거리가 많은 것 같다. 게다가 요트는 정말 멋진 경험이었다. 이번 여행의 꽃이었다. 비록 코로나라 돌아다니기 조심스러웠지만 시원한 바닷바람과 좋은 경치를 보면서 힐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3일차

아침에 헤이든 신씨어 라는 유명 카페를 찾아갔다. 유명한 카페인 만큼 경치도 좋고 디저트도 많았다.

 

 

커피도 따로 팔고 있었고,
역시 모양만큼이나 맛도 있었다. 너무 맛있어서 더 시켜 먹었다. ㅋㅋ

 

이렇게 밖의 바다를 보며 먹을 수 있는데 하필 태풍이었다.

 

오후에는 바닷가절 해동용궁사에 찾아갔다. 생각보다 볼게 많고 화려해서 찾아갈만 하다고 생각했다.
황금상이 있다.
큰 미륵상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PB9AFVcMmk 

오후에 요트에 타기 전에 시간이 남아 자전거를 탔다.

https://www.youtube.com/watch?v=lvPkcF1iRbI 

바닷가 자전거길이라 시원하게 탈 수 있다는 장점~! 단점은 코스는 단조롭고 비가 온 후에는 비가 고여서 위험하다.

저녁에는 요트에 타러 왔다. 가격대도 그렇게 부담스럽지 않고 분위기있게 저녁 노을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만약 친구들끼리 5~6인정도 왔다면 요트 하나를 다 빌리는 것을 추천한다. 가격이 비슷할 것이다.
요트에서 맥주 나누어줌.
반포대교를 지나가는 요트

https://www.youtube.com/watch?v=ogBGrit5pCk 

https://www.youtube.com/watch?v=le6qS3SypM0

소소한 폭죽도 보여준다. 여수에서 탔던 유람선은 폭죽이 주였지만 여기는 부라 기분만 내는 것 같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q1Xxyx74Txg 

 

인생샷?이라는데 배 위라 살짝 흔들렸다. 다른 사진들은 너무 흔들려서 알아보기 힘든 수준.

 

 

 

반응형
반응형

a. boot 파일에 Entry.S 소스 파일을 만들어서 레지스터, 메모리의 크기, 기능을 정의해주었다.

 

b. include 파일에 라이브러리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해두었다. 메모리에 인터럽트들을 정의해주었고 용량을 정해주었다.

 

c. include의 라이브러리 파일들을 Entry.S에 넣어주었다. 

 

d. 저번에 만든 Makefile의 기능을 실행시켜 디버그를 한다. make all, make debug, make gdb.

 

e. gdb와 연결을 시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본다.

 

현재 문제점 ! 

메모리 용량과 인터럽트들을 정의해서 실행시켰더니 에러가 났다. 문제점을 찾는 중이다.

 

에러 메시지

반응형

+ Recent posts